“동덕여대 논란, 수험생까지 울린 혼란…누가 책임질 것인가?”
23일 아침, 한 수험생과 가족이 서초구의 한 학교 교문 앞에서 발만 동동 굴렀다. 성북구 동덕여대 캠퍼스를 찾아갔다가 잘못된 시험장 위치 때문에 결국 시험을 보지 못하고 돌아선 것이다. 수험생은 “그동안 준비한 시간이 모두 헛되게 됐다”며 울음을 터뜨렸다. 그러나 이는 단지 한 사람의 불운이 아니었다. 동덕여대 점거 농성으로 촉발된 복구비 논란이 또 다른 혼란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점거 농성과 복구비 54억…책임 떠넘기기만 계속”
동덕여대는 최근 학생들의 점거 농성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학교 측은 복구비용을 약 54억 원으로 추산하며, 학생회가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총학생회는 강하게 반발하며, “과격 시위는 특정 집단의 주도가 아니라 개인들의 분노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손해배상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 한편, 이번 논란은 단순히 금전적 갈등을 넘어 대학과 학생 간 신뢰의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혼란 속 논술고사…수험생과 학부모가 받는 2차 피해”
복구비 논란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치러진 논술고사 역시 혼란의 연속이었다. 동덕여대는 기존 캠퍼스 대신 인근 중고등학교를 임시 고사장으로 지정했지만, 명확한 안내 부족으로 수험생 다수가 잘못된 장소로 향했다. 결국 입실 시간을 놓쳐 시험을 치르지 못한 수험생이 속출했다. 한 학부모는 “어른들의 싸움 때문에 아이들이 피해를 보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분노했다.
“끝없는 대치, 책임 회피가 낳은 혼란의 연속”
현재까지 복구비를 둘러싼 학교와 학생회의 입장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대학 관계자는 “학생회와의 대화는 시도하고 있으나 진전이 없다”고 전하며,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나 제3자의 중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교착 상태가 지속될수록 피해는 고스란히 수험생과 학부모, 그리고 학교 구성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 점거 농성과 복구비 논란이 단순한 내부 갈등을 넘어, 사회적 문제로 비화되고 있다. “책임을 묻기 전에 피해를 최소화하는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